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 놓아야 할 필요를 느껴서 작성하게 되었다.
1. PER (주가 수익률, Price Earning Ratio) :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
.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므로 PER 이 낮으면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는 셈
.시장평균에 비해서 얼마나 주가 프리미엄이 붙어 있는 지 판단하는 근거
.고 PER 종목은 고평가된 주식이므로 어닝쇼크가 발생하면 주가 급락 발생할 확률이 큼
.PER 이 증가하는 시기는 주당 순이익이 증가하는 시기와 대체로 맞물리므로 저 PER 종목이라고 해서 주당순이익이 감소하는 종목을 매수하는 행위는 확률적으로 위험
.PER 의 역수는 일반적으로 국채 금리보다 높으며, 그 차이를 Yield Gap 이라고 불리며, 주식 또는 채권 중에서 무엇이 투자 매력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근거로 쓰임
2. PBR (주가 순자산 비율, Price Book Ratio) :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
.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 지 측정한 값
.일반적으로 주가에서 주주 소유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해당 종목에 대한 프리미엄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종목의 경영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로 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
.저 PBR 종목이 저평가되었을 확률이 있지만, 투자 수익을 보장해 주지는 않으며 대체적으로 고 PBR 의 대기업 종목이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편이므로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
3. ROE (수익률, Return On Equity) : 당기순이익을 평균 자기자본값으로 나눈 값
.자본과 순이익의 비율이므로 PBR / PER 로 계산됨
.시장 평균치보다 낮으면 해당 업종이 불황이거나 해당 종목의 경영 상태가 좋지 않다는 의미
.시장 금리보다 높아야 투자 매력이 있음
.차입에 의한 레버리지 효과로 인한 고 ROE 주의할 필요가 있음
.최근 3년간 연평균 ROE 15% 이상인 종목 추천
[주식] 투자 종목 이야기 (0) | 2020.07.08 |
---|---|
[주식] 직장인에게 추천하는 주식 투자 방법 (0) | 2020.06.05 |
[주식] 투자 종목은 내가 좋아하는 분야로 선정하자 (0) | 2020.06.04 |
[주식] 허황된 수익률을 쫓지 말자 (0) | 2020.06.04 |
댓글 영역